[항공법] 항공기 비행기 차이 Aircraft, Airplane?
일상 생활에서는 항공기, 비행기, Aircraft, Airplane 이 각각의 차이를 구분하고 쓰지는 않는다. 하지만, 비행기를 타는 사람으로서 이러한 차이는 알아야 이 분야 전문가로 거듭나지 않겠는가.. 우선, 항공기가 무엇인지 알아보자. 항공안전법의 제 2조를 보면 "항공기"의 정의에 대해 나와있다. "공기의 반작용"에 의해 뜰 수 있는 기기로 비행기, 헬리콥터, 비행선, 활공기 + "그 밖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기"이다. 즉, 항공기가 더 큰 개념이고, 우리가 보통 생각하는 비행기가 그 하위 개념이다. 항공기 범주 안에는 헬리콥터, 비행선, 활공기들이 포함된다. 여기에 추가적으로 "대통령이 정하는 기기"에 포함되는 것이 무엇인지 알아보자. 여기서 1항에 해당되는 내용은 항공안전법..
[AIM] 눈비오는 날의 활주로(Dry, Damp, Wet, Slippery, Contaminated, RCAM, RCC, SNOWTAM)
하얕게 눈 덮인 세상은 예쁘게 보이지만 비행기에게는 매우 성가시고 위험한 존재다. 항공기에 Icing이 생길 수 있고, 활주로가 미끄러워 제동력이 저하될 수 있는 등 눈, 비 오는 날에는 특히나 조심해야한다. 오늘은 이런날 조종사가 어떻게 대응하는지에 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다. 활주로는 기본적으로 콘크리트 혹은 아스팔트로 만들어져 있다. 활주로 표면 상태에 따라 이/착륙 퍼포먼스가 달라지게된다. 조종사는 항공기 이/착륙 성능을 계산할 때에 반드시 활주로 표면 상태와 Braking Action이 어떤지를 고려해야 한다. 이런식으로 활주로 상태를 보여준다. 여기에 Wet, Sluppery 등 여러 상황일 때에 Safety Margin을 두어 퍼포먼스를 계산하는 식이다. 위에서 제공하는 정도의 마진을 ..
[AIM] 항공고시보 NOTAM(Notice to airman)에 대하여 알아보자. (1편)
노탐의 정의에도 나와있다시피 항공 관련 종사자들은 반드시 알아야 하는 중요한 개념이다. NOTAM의 정의 : 비행운항에 관련된 종사자들에게 반드시 적시에 인지하여야 하는 항공시설, 업무, 절차 또는 위험의 신설, 운영상태 또는 그 변경에 관한 정보를 수록하여 전기통신 수단에 의하여 배포되는 공고문을 말한다. 국토부 조종사표준 교재 매번 비행할 때마다 내가 가야하는 목적지 뿐만아니라 해당 항로까지 관련된 노탐을 확인하여 안전운항에 이상이 없는지를 확인해야한다. 노탐들은 어디서 만들어서 배포하는 것일까?? 국내에서는 17개의 항공고시보 취급소가 있다. - 국제항공고시보 취급소 : RKRR(중앙항공정보실) - 17개 항공고시보 취급소(인천,김포,제주,김해,청주,대구,광주,군산,원주,사천,포항,양양,여수,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