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light Rules (16) 썸네일형 리스트형 [AIM] 계기접근 카테고리 결정을 어떻게 할까? (Category of Aircraft, Approach Category) 계기접근을 할때 가장 중요한 것이 무엇일까? (저기 보이는 IN-N-OUT을 가본거 같다..) 저기가 맞는거 같다. 아무튼. 계기비행 중에는 시정이 제한되어있다. 일정고도 까지 내려갔는데 활주로가 보이지 않으면 Go Around를 해야한다. 조종사가 이를 판단하고 결정하는데 필요한 시간을 마련하기 위해 일정한 마진을 둔다. 접근 기상 최저치가 Obstacle Clearance를 보장하고 조종사가 이를 판단하고 Go Around를 수행하는데 문제가 없도록 여유 시간을 만들어 놓은 것이다. 물리 시간에 배운 가장 기본적인 공식으로 생각을 해보자. 거리(안전마진) = 속도 * 시간(Go Around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시간) 당연히 속도가 빨라짐에 따라 Obstacle clearance를 보장하.. [AIM] VFR on Top Clearance는 언제 쓰는 걸까? VFR on Top은 익숙하면서도 생소한 개념이다. 공부할 때엔 많이 읽고 찾아봤는데, 실제 비행에선 해본적은 없다. 여러 기출문제에서도 자주 출제되는 개념이고 후에 '시의적절하게' 쓰일 수 있으니 공부해보자. Definition 정의 A VFR on Top clearance is an IFR clearance that allows pilots to fly at VFR altitudes. 쉽게 말하면 IFR 비행 중인 항공기에게 VFR 고도를 허가해주는 것이 VFR on top이다. A pilot on an IFR flight plan operating in VFR weather conditions, may request VFR−on−top in lieu of an assigned altitu.. 항공 차트는 얼마 주기로 발행이 될까?? AIRAC date[출처] 항공 차트는 얼마 주기로 발행이 될까?? AIRAC date|작성자 여작가 항공 차트도 보통의 지도와 같이 주기적인 업데이트가 된다. 그렇다면 얼마 주기로 업데이트 되는 것일까? 항공용 차트를 보면 Effective date라고 표시되어있다. 왼쪽에 보면 19 MAY 17이라 표시되어 있고, 그 옆에는 Eff 24 May 1600Z라고 표시되어있다. Jeppesen Airway Manual Chart Legend 부분에 보면 설명이 되어있다. 왼쪽은 차트 발행날짜, 오른쪽은 유효한 날짜라고 보면된다. 즉 차트가 발행된 날짜고, 오른쪽은 저기 표시된 날짜 시간 이후부터 이 절차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AIRAC Date란? AIRAC은 Aeronautical Infformation Regulation And Control의 약어로 ICAO Annex 15(Aeron.. [항공법] 항공기 비행기 차이 Aircraft, Airplane? 일상 생활에서는 항공기, 비행기, Aircraft, Airplane 이 각각의 차이를 구분하고 쓰지는 않는다. 하지만, 비행기를 타는 사람으로서 이러한 차이는 알아야 이 분야 전문가로 거듭나지 않겠는가.. 우선, 항공기가 무엇인지 알아보자. 항공안전법의 제 2조를 보면 "항공기"의 정의에 대해 나와있다. "공기의 반작용"에 의해 뜰 수 있는 기기로 비행기, 헬리콥터, 비행선, 활공기 + "그 밖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기"이다. 즉, 항공기가 더 큰 개념이고, 우리가 보통 생각하는 비행기가 그 하위 개념이다. 항공기 범주 안에는 헬리콥터, 비행선, 활공기들이 포함된다. 여기에 추가적으로 "대통령이 정하는 기기"에 포함되는 것이 무엇인지 알아보자. 여기서 1항에 해당되는 내용은 항공안전법.. [History] ICAO의 설립 배경과 중요한 협약들에 대해 알아보자.(Chicago Convention, 파리협약, 하늘의 자유 등) 항공의 역사는 20세기 초반 두번의 세계대전을 거치면서 굉장한 속도로 발전하였다. 1903년 라이트 형제(Wright Brothers)의 첫 비행 후 6년만에 영-프 해협 횡단 비행을 하게되면서 굉장한 속도로 항공의 발전이 이루어졌다. 1차 세계대전을 거치면서 항공기술들이 점점 발달하였고 아래 영상상에서 볼 수 있는 비행기들이 탄생하게 되었다. https://youtu.be/s1oxX4Q6ndo 세계 1차대전이 끝이 나고 1919년에는 최초로 국제 정기 항공운송 업무가 시작되었다. 같은해 6월 최초 대서양 횡단 비행에 성공하는등 급속도로 항공기술은 발전하기 시작하였다. 하지만 가장 관심을 끈 문제가 "Freedom of the air"가 인정되는 것인지, 국가의 주권(State sovere.. [AIM] 눈비오는 날의 활주로(Dry, Damp, Wet, Slippery, Contaminated, RCAM, RCC, SNOWTAM) 하얕게 눈 덮인 세상은 예쁘게 보이지만 비행기에게는 매우 성가시고 위험한 존재다. 항공기에 Icing이 생길 수 있고, 활주로가 미끄러워 제동력이 저하될 수 있는 등 눈, 비 오는 날에는 특히나 조심해야한다. 오늘은 이런날 조종사가 어떻게 대응하는지에 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다. 활주로는 기본적으로 콘크리트 혹은 아스팔트로 만들어져 있다. 활주로 표면 상태에 따라 이/착륙 퍼포먼스가 달라지게된다. 조종사는 항공기 이/착륙 성능을 계산할 때에 반드시 활주로 표면 상태와 Braking Action이 어떤지를 고려해야 한다. 이런식으로 활주로 상태를 보여준다. 여기에 Wet, Sluppery 등 여러 상황일 때에 Safety Margin을 두어 퍼포먼스를 계산하는 식이다. 위에서 제공하는 정도의 마진을 .. [AIM] 항공고시보 NOTAM(Notice to airman)에 대하여 알아보자. (1편) 노탐의 정의에도 나와있다시피 항공 관련 종사자들은 반드시 알아야 하는 중요한 개념이다. NOTAM의 정의 : 비행운항에 관련된 종사자들에게 반드시 적시에 인지하여야 하는 항공시설, 업무, 절차 또는 위험의 신설, 운영상태 또는 그 변경에 관한 정보를 수록하여 전기통신 수단에 의하여 배포되는 공고문을 말한다. 국토부 조종사표준 교재 매번 비행할 때마다 내가 가야하는 목적지 뿐만아니라 해당 항로까지 관련된 노탐을 확인하여 안전운항에 이상이 없는지를 확인해야한다. 노탐들은 어디서 만들어서 배포하는 것일까?? 국내에서는 17개의 항공고시보 취급소가 있다. - 국제항공고시보 취급소 : RKRR(중앙항공정보실) - 17개 항공고시보 취급소(인천,김포,제주,김해,청주,대구,광주,군산,원주,사천,포항,양양,여수,울.. [Performance] 비행기가 이륙하는데 얼마만큼의 활주로가 필요할까?(Runway Declared Distance, Balanced Field Length) 비행을 할때 가장 위험하기도 하고 중요한 Phase인 Take Off. 비행기에 얼마나 많은 승객이 탑승했고, 화물이 탑재되었는지에 따라 같은 항공기에 같은 공항이라도 이륙을 할 수 있기도하고 없기도 하게된다. 뿐만아니라, 눈이 오거나 비가와서 미끄러울 경우, 활주로 방향에 따라서도 매번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조종사는 매번 비행 때 마다 이륙할 수 있는 거리가 얼마인지 알아야 하고, 이 활주로에서 이륙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한 판단을 해야한다. 이를 위해서 알아야 하는 개념에 대해서 다뤄보도록 하겠다. 비행공부를 하면서 정말 헷갈렸던 개념 중 하나이다. (나만 헷갈린건가) 기본적으로 Runway Declared Distance(이륙에 필요한 활주로 유효거리)와 Runway Required Dist.. 이전 1 2 다음 목록 더보기